스타듀밸리 씨앗생성기 최고효율로 사용하기. 고대열매 씨앗 불리기.

아직 1년이 되지 않은 뉴비들은 이 글을 신경쓰기보다는 [기력시스템, 초반 기력관리 공략] 을 읽으라구~

 

 

 

0. 필요성

이게임의 최종 돈벌이는 온실에 고대열매를 가득채워서 고대열매 양조장을 돌리는 것이다.

 

온실을 열면 고대열매를 심을 궁리를 하게 되는데 고대열매는 온실에서는 죽지 않으므로,

온실에 심는다-열매를 얻는다-열매를 씨앗생성기에 넣어 씨앗을 얻는다-다시 온실에 심는다

를 반복하면 온실을 빠르게 가득 채울 수 있다.

 

여기에서는 씨앗생성기에서 확정적으로 3개의 씨앗을 줄줄이 얻는 방법을 알려주려한다.

 

스듀위키의 씨앗생성기 항목, https://stardewvalleywiki.com/Seed_Maker를 참고함.

 

 

1. 이론&원리

(스킵해도 좋지만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 원리가 궁금하다면 읽어보자.)

 

 

스듀위키에 따르면, 씨앗 생성기 작동 메커니즘은 아래의 값에 영향을 받는다.

(이 값이 정확히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알 수 없었다.)

 

(#플레이한 날짜) + (고유 게임 ID)/2 (씨앗생성기의 X_좌표) + (씨앗생성기의 Y_좌표)×77 + (timeOfDay) = ?

 

 

(#플레이한 날짜), (고유 게임 ID) 는 하루가 시작됐을 때 변하지 않는 값이고,

(씨앗생성기의 Y_좌표)에는 77이 곱해져있으므로 패턴화하기는 어렵다.

 

대신에 씨앗생성기의 Y좌표를 고정시키고,

(씨앗생성기의 X_좌표), (timeOfDay) 이 두 요소만 제어할 수 있으면 값을 항상 같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많은 고인물들은, 불러오기를 통해 고대열매를 불리려고 시도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같은시간에 넣으면 항상 비슷한 결과가 나오지 않던가?

 

 

직접 실험을 통해 알아낸 것은,

 

1. (timeOfDay)는 게임내 10분 단위를 의미한다.

 

2. (씨앗생성기의 X_좌표)

 

   이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10분이 지났을 때, X_좌표를 한칸 줄이면 해당 값은 변하지 않는다. (= 같은 결과가 나온다.)

 

 

---------------------------

2. 활용

 

 

1. 집근처에 씨앗 생성기를 두고 막 대충 넣으면서 3개가 나오는 생성기를 하나 찾는다. 전날 미리 가까운 곳에 두면 좋다. 불려야 할 열매가 많다면 세로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자.

 

 

예시) 6시 30분에 4개를 동시에 투입.

 

 

맨 아래 기계에서 3개가 나왔으니 나는 저걸 기준으로 하겠다.

 

 

2. 불러오기

 

아까 그 자리로 ㄱㄱ

 

 

3. 아까 3개 나온 기계를 기준으로, 10분 간격으로 위쪽 기계에 하나씩 넣자.

 

6시 30분에 아까 그 기준점에 투입.

 

6시 40분에 바로 위 기계에 투입.

 

6시 50분에 그 위 기계에 투입. 시계를 볼 필요없이 맨 아래 기계가 생성완료 뜨면 그 때 넣으면 됨. (생성시간 20분)

 

 

같은 방법으로 아래 씨앗과 생성기를 회수해서 위에 연결해서 반복하면 된다.

생성기 3개만 사용해도 아랫거 빼서 위에 넣기에 시간은 넉넉하다. (10분=현실 7초)

 

 

 

4. 결과

 

1년차 봄에 심어서 모아둔 고대열매 13개를

씨앗 39개로 바꾸었다.

 

1년 가을에 이만큼 채우기 쌉가능. (가축을 최소한으로 키웠더니 온실이 엄청 늦어짐)

 

겨울이면 온실이 꽉차고 2년 봄에도 꽤 많이 심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

 

3. 두줄요약

 

1. 씨앗생성기는 같은 날짜, 같은 위치, 같은 시간에 넣으면 결과는 항상 같다.

 

2. 아래 생성기에 넣고 10분 후, 한칸 위 생성기에 넣으면 두 생성기의 결과는 같다.

 

 

 

주의사항. 가끔 특정 높이에 도달하면 다른패턴이 줄줄줄 나온다. 흔하진 않은데 원인은 모르겠음. Y축과 관련된 뭔가가 있는듯.

10개 미만은 거의 체감되지 않지만, 만약 안된다 싶으면 다른 기준점을 찾자.

 

 

 

이 공략이 너무 고효율이고 치사한거 같다는 생각이 들면 씨앗생성기를 가로로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거의 예측이 불가능하니 확률에 맡길 수 있다.

 

혈관에 김치국물이 흐르는 자들은 어서어서 온실을 채우라구~

 

출처 : 스타듀밸리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