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삼성의 GOS 이슈의 문제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요. 대부분 다 알고 계시겠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GOS(Game Optimizing Service)란 게임할 때 스마트폰을 최적화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게임같이 고사양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발열이 심해지고 프레임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GOS는 칩에 과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칩의 성능을 일정하게 낮춰 유지하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 최적화 프로그램이 왜 문제가 되고 있는가 인데요.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그 최적화의 정도가 너무 지나치다는 것입니다. 성능 제한에 대해서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는 제한 폭이 너무 심하다면 불많이 많았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고 스마트폰의 성능을 체크하는 벤치마크 앱 긱벤치에서는 이 성능 이슈에 대해 주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얼마나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지 체크하는 것을 벤치마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문제가 된 부분은 삼성의 GOS가 벤치마크 프로그램이 켜져 있을 때만 동작을 안 한다는 것입니다.
수많은 유투버가 벤치마크 앱의 애플리케이션 이름과 패키지 이름을 원신으로 변경해서 GOS를 강제 적용하는 편법을 이용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성능 제한을 증명해냈습니다. 과거에는 게임 제작사의 최적화 능력에 대한 비판이 많았지만, 이 테스트를 통해 최적화에 앞서 GOS가 더 큰 문제점이라는 것이 증면 된 것입니다.
긱벤치 개발자 존 푼은 "예상하지 못했는데 삼성 갤럭시 S22(스냅드래곤)에서도 재현할 수 있었다. 스냅드레곤에서는 차이가 훨씬 더 크다"라고 밝혔습니다.
오목교 전자상가 에서는 삼성전자 GOS 관련 문제로 해외 유명 벤치마크 앱 '긱벤치'의 개발자 '존 풀(John Poole)'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그는 삼성전자의 GOS 이슈가 일종의 벤치마크 '치팅'일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해당 문제의 조사 범위를 갤럭시 S7까지 확대할 예정이라 밝혔습니다. 긱벤치의 판단에 따라, GOS가 적용된 벤치마크 리스트에서 갤럭시 시리즈를 삭제(delisting)할 수 있다는 입장까지 내놓았습니다.
"긱벤치에서는 GOS 존재를 언제 알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이번 주 초에 알게 되었고 제품 사용자 중 한 명이 알려주셨다"라고 말했고 "이 문제가 한국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GOS의 본연의 목적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프레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발열을 막을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GOS의 '작동방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만약에 정상적인 해결 방법을 적용한다면 벤치마크를 포함하여 모든 앱에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 고 말했고 "따라서 '원신'을 실행하든 긱벤치를 돌리던 3D마크를 돌리던 모든 앱에서 같은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어야 합니다."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GOS가 문제점에 대해선 "선택적으로 GOS가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현재 삼성은 GOS가 게임 최적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이 앱 리스트에 벤치마크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해명했습니다.
존 풀은 "이렇게 함으로써 삼성이 굉장히 성능이 좋은 핸드폰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선 "왜냐하면 벤치마크 보고서에 점수가 사용자들이 경험할 실제 앱 성능과 크게 다를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커뮤니트를 보면 게임뿐 아니라 일반 앱(카카오톡, 유튜브, 넷플릭스)에서도 GOS가 개입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삼성 갤럭시에 설치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카카오톡이 얽힌 시점에서 GOS 이슈는 더 이상 "하드코어 한 게임을 하지 않는 일반인"과는 상관없는 문제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성의 스마트폰 중 일부가 벤치마크 치팅 협의로 차트에서 제거될 확률이 있냐는 질문에는 "단말기 공급업체가 부정행위를 하거나 어떤 형태로든 벤치마크를 조작할 때마다 저희는 자체적으로 조사하거나 OnePlus의 경우처럼 신뢰할 수 있는 다른 제삼자의 조사 후 차트에서 삭제한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벤치마크 차트에서의 삭제는 영구적일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치팅 여부에 대한 결정이 언제쯤 나올 수 있냐는 질문엔 "최대한 빠르게 문제를 파악할 예정이며 문제가 되는 모든 단말기를 테스트해 처리하는 방식을 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갤럭시 S22뿐만 아니라 S9, S8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발견했고 S7도 테스트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을 모두 조사해서 문제가 발견되면 리스트에서 이괄 삭제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입니다.
인터뷰를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긱벤치 트위터에 삭제된 모델 리스트를 공개 했습니다. 광범위한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Samsung Galaxy 핸드셋이 GOS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Samsung Galaxy S22(모든 모델)
- Samsung Galaxy S21(모든 모델)
- Samsung Galaxy S20(모든 모델)
- Samsung Galaxy S10(모든 모델)